묘지 줄고 자연장 늘어… 내년부터 과부하 온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17회 작성일 19-05-09 14:29본문
도민 10명 중 9명 “매장보다 화장”… 40%가 자연장 선호
자연장지 404곳 24만여 구 수용, 2026년 부족 사태 직면
권역별 불균형 심각… 화장시설 3곳뿐 추가 건립 필요해
자연장지 404곳 24만여 구 수용, 2026년 부족 사태 직면
권역별 불균형 심각… 화장시설 3곳뿐 추가 건립 필요해
경기도 장사 문화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묘지 매립 대신 자연장 선호도가 늘고 있는 반면 정작 수요를 감당할 시설은 부족,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2018~2022) 수립’ 보고서를 완성했다.
보고서 내 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8.4%(884명)가 매장보다는 화장을 희망했다. 또 화장을 원한다고 응답한 도민 중 39.4%(348명ㆍ최다)는 유골처리 방법으로 자연장(화장 유골을 나무나 화초 주변 등에 묻는 장사방식)을 선택했다. 도내 장사 문화가 기존 묘지 매립 방식에서 자연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수요 증가를 뒷받침할 도내 장사시설 인프라는 전반적으로 미흡했다. 또 중앙 정부 차원에서 장사 정책으로 자연장을 강조하면서 관련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 장지 부족 사태에 직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도내 자연장지는 공설 자연장지 12곳과 사설 자연장지 392곳을 포함해 404곳이다. 이들 장지의 수용 가능 규모는 24만여 구다. 이 중 3만여 구를 현재 소진해 앞으로 21만여 구를 안치할 수 있다. 급증하는 경기지역 자연장 수요와 사망자 수를 고려하면 2026년에는 자연장지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설 자연장지는 12곳으로 시설 수 자체도 적을 뿐만 아니라 향후 수용 가능 규모도 4만 6천여 구에 불과했다. 현 수준의 수요가 이어진다면 당장 내년부터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는 과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자연장지의 권역별 불균형 문제도 지적됐다. 도내 전체를 동ㆍ서ㆍ남ㆍ동북ㆍ서북부로 나눠보면, 동부권(광주ㆍ성남ㆍ양평 등 6개 지역)과 남부권(수원ㆍ안성ㆍ오산 등 5개 지역)에서는 각각 10만 2천여 구(101곳)와 7만여 구(63곳)를 추가로 안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서북부권(고양ㆍ연천ㆍ파주 등 3개 지역)에서는 이미 31곳의 시설이 가득 차 지난해부터 추가 안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화장시설의 경우 도내에 수원, 성남, 용인 등 단 3곳의 지역에만 위치해 연간 5만 건에 이르는 수요를 감당하기에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3개 화장시설의 연간 화장량은 3만 7천여 건에 불과하다. 또 현재 있는 화장시설은 모두 남부 지역에만 있어 추후 화장시설 확충 시 화장시설이 없는 북부와 동부 지역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관계자는 “장사시설이 기피시설이다 보니 도내 시ㆍ군이 주민 반발 등으로 확충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도내 시ㆍ군들이 장사시설 계획을 수립할 때 지적된 문제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2018~2022) 수립’ 보고서를 완성했다.
보고서 내 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8.4%(884명)가 매장보다는 화장을 희망했다. 또 화장을 원한다고 응답한 도민 중 39.4%(348명ㆍ최다)는 유골처리 방법으로 자연장(화장 유골을 나무나 화초 주변 등에 묻는 장사방식)을 선택했다. 도내 장사 문화가 기존 묘지 매립 방식에서 자연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수요 증가를 뒷받침할 도내 장사시설 인프라는 전반적으로 미흡했다. 또 중앙 정부 차원에서 장사 정책으로 자연장을 강조하면서 관련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 장지 부족 사태에 직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도내 자연장지는 공설 자연장지 12곳과 사설 자연장지 392곳을 포함해 404곳이다. 이들 장지의 수용 가능 규모는 24만여 구다. 이 중 3만여 구를 현재 소진해 앞으로 21만여 구를 안치할 수 있다. 급증하는 경기지역 자연장 수요와 사망자 수를 고려하면 2026년에는 자연장지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설 자연장지는 12곳으로 시설 수 자체도 적을 뿐만 아니라 향후 수용 가능 규모도 4만 6천여 구에 불과했다. 현 수준의 수요가 이어진다면 당장 내년부터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는 과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자연장지의 권역별 불균형 문제도 지적됐다. 도내 전체를 동ㆍ서ㆍ남ㆍ동북ㆍ서북부로 나눠보면, 동부권(광주ㆍ성남ㆍ양평 등 6개 지역)과 남부권(수원ㆍ안성ㆍ오산 등 5개 지역)에서는 각각 10만 2천여 구(101곳)와 7만여 구(63곳)를 추가로 안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서북부권(고양ㆍ연천ㆍ파주 등 3개 지역)에서는 이미 31곳의 시설이 가득 차 지난해부터 추가 안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화장시설의 경우 도내에 수원, 성남, 용인 등 단 3곳의 지역에만 위치해 연간 5만 건에 이르는 수요를 감당하기에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3개 화장시설의 연간 화장량은 3만 7천여 건에 불과하다. 또 현재 있는 화장시설은 모두 남부 지역에만 있어 추후 화장시설 확충 시 화장시설이 없는 북부와 동부 지역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관계자는 “장사시설이 기피시설이다 보니 도내 시ㆍ군이 주민 반발 등으로 확충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도내 시ㆍ군들이 장사시설 계획을 수립할 때 지적된 문제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출처-e하늘장사정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